더 많은 공간 사진을 보고 싶다면
집꾸미기. @ggumigi
공간출처. @h_moonyoung2

오리엔탈
춘천에 거주중인 26살 디자이너입니다.
저희집은 할아버지,할머니,부모님 그리고 동생까지 대가족이 사는 집이에요.
추억이 되고 이야깃거리가 있는 저희집을 소개하겠습니다.

오리엔탈
저희 집 입구입니다. 현관은 집의 첫 인상이라고 하잖아요?
오래된 쌀통과 아버지, 할아버지께서 직접 쓰신 붓글씨가 그려진 도자기를 활용하여 집 전체의 분위기를 간결하게 표현하였습니다.
바닥은 무지와 패턴 헥사곤 타일을 그라데이션으로 믹스하여 산뜻한 분위기를 주었어요.

현관과 신발장을 지나 중문을 열고 들어오자마자 보이는 모습입니다.
허전한 흰 벽 앞, 팔각 장식장에 화분 하나를 얹어 동양화 화폭에 나올법한 분위기를 연출하였구요. 그 옆으로 바로 제 방이 보입니다.
평상을 넣어 공간 활용하기

가족 구성원이 많아 각자 자기의 방은 취향대로 꾸미려고 한터라 제 방을 꾸미는데는 각별히 신경을 많이 썼던 것 같아요.

첫째, 창가를 바라볼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고 둘째, 나의 추억이 담긴 나만의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라는 이 두 가지가 처음 제 방을 꾸미기 전에 생각한 것이에요.
그래서 처음 공사를 할 때 큰 멀바우 평상을 창가로 짜넣었어요.

평상 아래는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측면에 큰 문을 달았어요.
기존에 여닫이를 하거나 서랍을 하고싶었는데 멀바우 목재 자체가 무거워서 경첩에 무리가 갈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자석으로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평상 아래를 알차게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어요.

아래에는 그림을 그릴 때 썼던 이젤과, 할머니가 쓰시던 다듬이대, 추억이 깃든 와인병 등을 놓아 분위기를 내보았어요.
평상위에는 작은 소파를 두어서 책을 읽거나 노트북을 하곤 합니다. 저 보다 아버지가 자주 앉아서 창밖을 내다보곤 하신답니다.

평상에는 제 비밀공간이 있어요.
그동안 여행을 다니면서 모았던 수많은 엽서들과 소품들을 어떻게 할까 생각하던 중, 배란다 확장을 하면서 철거하지 못한 벽의 틈 사이에 저만의 공간을 하나 만들어 보았어요.
목공소에 치수를 재가서 틈에 좌식책상을 짜넣었고, 장식장도 만들어 달았습니다.

수집하는걸 굉장히 좋아합니다. 그래서인지 한켠에는 컬렉션 같은 공간이 생기더라구요.
제 추억과 땀이 모인 장소라 그런걸까요? 그냥 이 공간에 앉아 멍하니 엽서를 구경하는것도 힐링이 되요ㅎㅎ
함께 본 기사: 【원룸 인테리어】 하고 싶은 것 많은 초보 자취러의 달 밝은 집

밤이 되면 조명을 켜두고 노트북을 하기도 하구요. 간단한 글을 쓰기도 한답니다.

겨울들어 강추위가 오면서 침대를 평상아래로 내렸어요. 여름에는 평상위에 매트리스를 놓고 사용하면 정말 시원하답니다.
지금은 바닥에 매트리스만 두고 침대로 이용하고 있죠. 머리맡에 큰 아레카야자를 두어서 나무 아래에서 자고 일어난 듯한 느낌으로 기분 좋게 눈을 뜬답니다.

방문을 열자마자 문 왼쪽에 옷장을 하나 짜 넣었어요. 문을 열자마자 옷장이 있어서 답답할까 생각할수도 있는데요.
오히려 시야에 벗어나서 위치선정을 참 잘했다고 생각하고있어요. 적당히 파티션 기능도 해주어서 작은 드레스룸이 생긴 기분이 듭니다.

제 방에서 나와 왼쪽으로 나가면 보이는 복도의 모습입니다. 복도 바닥부분은 헤링본으로 시공을 하여 공간감이 시원하게 느껴지도록 하였답니다. 지금 이 사진의 우측 파벽돌의 아트월은 서재에요.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