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프리랜스 에디터 박선아입니다. 매거진에서 에디터로 일하다가 지금은 프리랜서로 아트디렉팅이나 원고를 기고하며 지냅니다. 최근에는 <어라운드> 매거진에서 3년간 연재한 글을 모아 『20킬로그램의 삶』이라는 수필집을 출간했어요.
책을 내고 ‘20킬로그램의 삶’이 무엇을 의미하냐는 질문을 종종 받았거든요. 여러 의미가 복합적으로 담긴 말인데 간단히 말하면 “내 모든 짐을 20킬로그램의 가방 안에 담고 싶다.”예요. 20대에 제가 살았던 집들은 ‘임시거처’였거든요. 1년 혹은 2년씩 계약하고 그 후에는 이동해야 하는 집들이었죠. 그렇다 보니 언젠가부터 짐을 잘 늘리지 않게 되었어요.
미니멀리즘이라고 하면 거창하게 느껴지고 그냥 거추장스러운 것을 안 좋아하는 것 같아요. 외출할 때도 가방 들고 나가길 귀찮아하거든요. 책과 핸드폰 지갑 정도만 들고 나가요. 많이 걷고 이동하는 편이라 짐이 많으면 괴롭거든요.
집에 대한 마음도 외출할 때와 비슷합니다. 가진 게 많아질수록 번거롭더라고요. 아직 ‘내 집 마련’에 대한 계획이 없어서 앞으로도 이사를 다니며 살아야 할 것 같아요. 그때마다 무겁지 않게 있던 자리를 떠나고 싶다는 바람이 있습니다.
내 집을 갖게 될지는 잘 모르겠어요. 집을 살 돈이 없기도 하지만, 사실 이사 다니는 것을 좋아하기도 하거든요. 서울에서는 전농동, 월계동, 안암동, 공덕동, 도화동, 상수동에 살아봤어요. 아일랜드라는 나라에서 산 적도 있고요. 어떤 동네에 1~2년 살고 또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기분이 재미있습니다. 곳곳에 추억을 쌓아두는 것도 즐겁고요.
만약 언젠가 제집을 갖게 되면 그건 작은 오두막이었으면 해요. 상상하던 집을 어느 사진집에서 보고 찢어뒀거든요. 회사나 집 한쪽에 붙여두고 그 집을 그리곤 합니다. 설사 평생 살아보지 못할 집이라고 해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럽더라고요.
오늘 소개할 집은 제가 서울에서 구한 여섯 번째 집이에요. 적잖은 이사를 하고 부동산을 드나들며 나름대로 ‘집’을 구하고 채우는 기준이 생긴 것 같아요.
7평짜리 원룸이라 사진으론 뭔가 꽉 차 보일 수도 있는데, 사실 있는 것이 몇 개 없어요. 서울의 자취방들은 ‘옵션’을 갖추고 있는 곳들이 많잖아요. 일단 그것들을 먼저 살피는 것 같아요. 옵션이 있으면 일단 제 소유 물건이 반으로 줄거든요. 집을 구한 후에도 되도록 가구는 잘 사지 않고, 접이식이나 임시로 사용하는 물건들을 사는 편이에요.
침대도 처음 자취를 시작할 때는 프레임이 있었거든요. 언젠가부터 프레임은 버리고 매트리스만 갖고 다녀요. 침대 프레임이 은근 이사 다닐 때, 불편하고 원룸에서는 공간도 많이 차지하더라고요.
테이블도 되도록 사고 싶지 않았는데, 친구들이 둘 이상 오면 식사할 자리가 없더라고요. 여행 가방 같은 것을 깔고 밥을 먹다가 안 되겠다 싶어서 하나 마련했어요.
상판과 다리가 분리되어 이동이 쉽고 저렴한 제품이죠. 옥상이 있는데 거기로 쉽게 갖고 올라갈 수 있잖아요. 친구들을 초대해서 밥이나 술을 마시려고 일부러 이걸 샀어요. 다리는 이케아 것이고 상판은 마켓비에서 원하는 크기로 주문했어요.
두 가지를 합쳐서 14만 원이었던 거 같아요. 언젠가 이사할 때, 누구에게 줘버려도 아깝지 않을 가격이죠.
가계부를 쓰는데 외식 비용으로 상당한 돈이 나간다는 걸 알았어요. 전 프리랜서고 고정적인 수입이 없어서 늘 통장 잔고를 생각하며 지내거든요. 돈을 펑펑 쓰며 노는 즐거움보다 아껴서 잘 놀았을 때, 더 즐겁습니다.
그래서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기 시작했어요. 외식할 돈으로 장을 봐서 음식을 하면 식탁이 훨씬 풍성해지거든요. 처음엔 돈을 아껴보자는 앙큼한 의도였는데, 점점 집이라는 공간에서 누군가와 둘러앉는 기분을 좋아하게 되네요.
집에서 먹으려면 요리를 준비해야 하잖아요. 친구들이 도착하기 전에 그들을 위해 요리하는 과정이 참 좋아요. 제가 점점 마트의 식재료 가격 같은 것을 기억하게 되는 것도 신기합니다.
회사에 다니고 일이 너무 바쁠 때는 돈을 쓸 시간이 없었어요. 통장에 잔고는 쌓여가고 그 돈은 야근하고 집에 갈 때, 택시비나 샌드위치와 배달 음식을 시켜먹는 데에 주로 쓰였죠. 한 달에 한 번 비싼 옷도 사고 좋은 레스토랑도 갔어요. 매일 집 앞에 택배박스를 갖고 들어가 뜯어보는 게 밤의 낙이었죠. 그땐 그 나름의 즐거움이 있었는데, 요즘 느끼는 기분도 이 나름대로 즐거워요. 좀 궁상맞은 것 같긴 하지만 서도(웃음).
가게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이 아니라 나와 내 친구들이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놓는 일도 즐거워요. 언젠가부터 아무리 돈이 없어도 음악, 영화, 책 같은 것들은 정식으로 구매하려고 애써요. 음반으로, 영화관에서, 서점에서 사서 즐기는 편입니다.
그렇게 하나둘씩 사 모은 음반을 친구들과 나눠 들으면 좋아요. 어떤 노래 하나에 긴 이야기가 이어지기도 하고 시끄러운 곳에서 나누지 못하는 얘기들을 하기도 하죠. 이렇게 좁은 방에 둘러앉아 놀면 함께하는 시간의 밀도가 더 촘촘해지는 것 같아요.
친구들을 초대해서 논다고는 하지만 사실 친구들이 오는 날은 가끔이고 대부분의 날은 고양이와 둘이 보냅니다. 몸이 약해 엄마가 버리고 간 새끼 고양이를 누군가 구조했고, 여러 집을 거치고도 갈 곳이 없어 제게 왔습니다. 같이 산 지는 2년 반 정도 되었는데, 이 친구를 통해 몰랐던 걸 많이 알아가요.
저는 밖에 나가고 사회생활도 하지만 저희 고양이에겐 이 집이 세상 전부라 생각하면 가끔 막막해져요. 지금 이대로도 괜찮을 거로 생각하다가도 어떤 날에는 너무 미안해서 막 울어요.
제가 언젠가 넓은 집에 살고 있다면 그건 제 의지보다는 사랑하는 누군가를 위한 일일 거예요. 고양이가 더 넓은 마당에서 뛰어 놀게 하기 위해서 혹은 제 아이가 혼자 책을 읽을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그런 일이 아니고 저만 생각한다면 저는 계속 이 정도 크기의 집에서 살고 싶고요.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