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공간 사진을 보고 싶다면
집꾸미기. @ggumigi
공간출처. @selly_may

안녕하세요. 10여 년 소품 디자이너로 활동하다가 지금은 패브릭을 이용한 다양한 소품들을 자체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는 가정주부입니다. 제 취향과 오랜 꿈을 반영하여 마당있는 작은 집을 짓게 되었고 한 달 전에 이사왔어요.
꿈을 실현해 준 듀플렉스 하우스

원래 살고 있던 아파트와 가까운 위치에 터를 잡았어요. 단독주택 및 타운하우스가 밀집해 있는 지역이라 매우 조용해요. 아이들의 학교나 중심상가들도 집과 가깝고 광역버스가 집 근처에 있어 서울과도 크게 거리가 느껴지지 않아 좋아요.

저희 집은 듀플렉스 형태, 흔히 말해 ‘땅콩집’이에요. 세입자로 인해 건축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선택하게 되었어요. 물론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옆집에 살다보면 불편한 일도 많겠지만 잘 조율하며 살아 가는 게 또 이웃사촌이니깐요. ^^
서로의 영역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다

꼼꼼하고 공간감이 우수한 남편이 집을 설계했고, 저는 디자인 전공을 살려 전반적인 컬러선택이나 홈스타일링을 맡아 진행했어요. 각자의 영역에서 능력을 발휘해 커다란 의견대립없이 일 처리가 잘 되었던 것 같아요.

한 층당 17평의 공간으로 총 3층으로 되어 있는 주택이에요. 1층은 가족의 생활공간, 2층은 개인적인 공간, 그리고 3층은 넓은 다락방으로 이용중이에요.
초록빛 풍경을 담은 거실

1층은 크게 거실과 주방으로 나눌 수 있어요. 거실은 따뜻하고 네츄럴한 분위기를 최대한 살렸어요. 창 밖의 초록 풍경을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소파를 창문 옆에 배치했어요.

큰 창에는 오래전에 사 놓았던 레이스 천을 봉제과정없이 자연스럽게 걸어 두었어요. 은은한 커튼 사이로 계절이 바뀌는 걸 한 눈에 볼 수 있는 거실이에요.

소파는 네츄럴한 분위기에 잘 어울리는 패브릭 소재를 선택했어요.

소파 맞은 편에는 TV와 식물들이 있어요. 집안 곳곳에 식물들이 많이 있는데 특히나 공기정화가 잘 되는 유레카야자나무는 시원한 분위기를 내는 데 최고인 것 같아요.

거실 한쪽에는 작은 원목 수납장을 두었어요. 저는 물건을 들일 때 늘 집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지 생각하는 편이에요. 너무 많은 것에 욕심내지 않고 버릴 땐 과감하게, 또는 필요한 분들과 나눔을 하며 집을 꾸며가고 있어요.
1층 분위기의 중심, 다이닝룸

거실 뒤편에는 식탁이 있어요. 거실과 주방이 전부인 1층 공간에서 주방가구의 역할은 너무나 중요하다 생각했어요.
함께 본 기사: 깔끔하지만 밋밋하지 않게, 식물과 그림으로 포인트를 주었어요!

그래서 식탁도 직접 상판과 다리를 골라 제작했어요. 옛날 문으로 쓰였던 고재상판에 철제다리를 구입해 조립해줬어요. 소박한 음식을 만들고 사진으로 기록하는 걸 좋아하는 저의 일상과 너무 잘 어울리는 아이템이라 만족하고 있어요.

식탁 의자는 세덱제품으로 세일기간을 활용해 알뜰하게 구입했어요. ^^ 다음은 식탁 뒤편으로 있는 주방을 소개드릴게요.
세련된 민트색 주방

주방 싱크대는 1층의 분위기와 큰 이질감이 없도록 채도가 낮은 민트 그레이색를 선택했어요. 또, 상부장은 과감히 없애고 하부장만 맞춰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었어요. ㄱ자형 주방으로 개방감있게 쓰고 싶었던 제 로망을 실현해봤답니다.

싱크대에 붙어 있는 아일랜드식탁은 일부러 상판을 한 단 낮게 제작했어요. 식탁과 같은 높이로 제작해서 따로 바 의자를 구입할 필요가 없었어요. 상판을 낮추니, 주방이 덜 답답해보이기도 해요.


그리고 상부장을 없애는 과정에서 엄청난 살림살이 다이어트가 있었어요. 갖고 있던 주방식기들을 정리하고 정말 소중하고 소장가치가 있는 그릇들만 챙겨 왔어요. 소량의 그릇만으로도 충분히 살아지더라구요. ^^

평소 테이블웨어를 즐기는 편이에요. 네츄럴하고 따뜻한 분위기의 테이블웨어를 좋아해, 우드 식기들을 많이 갖고 있어요.

자주 쓰지 않는 그릇들은 주방 옆 계단 밑에 숨겨져 있어요. 집을 지을 때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홈을 파 두었는데 이렇게 유용하게 쓰이네요.
작은 공간 속 유니크한 1층 화장실

1층에 있는 화장실은 공간이 작아서 필요한 것들로만 채웠어요. 공간을 좀 더 활용하기 위해 미닫이문으로 시공했습니다.

문을 열고 들어오면 앞쪽에는 수전, 뒤쪽에는 양변기가 있어요. 화이트색을 바탕으로 잡고 유니크한 타일로 포인트를 준 화장실이에요.

원목 거울과 휴지걸이는 시공하면서 남은 목재(오크 집성목)으로 제작했는데 화장실의 분위기와 딱 맞는 결과물이 나와주어서 아주 만족해요.

손만 씻을 수 있는 작은 수전 밑에는 린넨 천을 달아 지저분한 부분을 가렸어요.

다음은 계단을 올라 2층으로 가볼게요.
댓글 많은 뉴스